기술 칼럼 목록
바이오 의약품의 다운스트림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기술이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전반적인 기술 정보를 칼럼으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Cellufine을 사용한 다운스트림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 도움말로 활용해 주십시오.
Cellufine을 이용한 CHO 세포 배양 상청액의 단일클론항체 정제
CHO 세포 배양 상청액을 이용한 3개의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사례.
Cellufine SPA-HC, Cellufine MAX Q-h, Cellufine MAX GS를 이용한 정제 사례.
셀룰로스계 크로마토그래피 담체(Cellufine)를 이용한 효율적인 단일클론항체 정제 방법
단일클론항체(mAb)의 다운스트림(정제 공정)에는 단백질 A 컬럼을 이용한 포착 공정과 폴리싱이라고 불리는 불순물 제거 공정이 있습니다. 이 칼럼에서는 폴리싱 공정에 사용되는 2개의 컬럼을 연결하여, 플로우 스루 모드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FT-FT 모드).
Cellufine 친화성 담체 및 믹스 모드 담체를 활용한 단일클론항체 정제의 2단계 정제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캡처 공정과 Cellufine MAX IB를 통한 폴리싱 공정의 2단계 정제로, 단일클론항체의 고순도 정제를 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2단계 정제를 실현함으로써 다운스트림 정제의 설비 투자를 줄이고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Cellufine Sulfate를 활용한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의 정제 사례
바이러스 정제 경험이 풍부한 Cellufine Sulfate를 이용한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hCoV OC43)의 정제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β코로나바이러스속 hCoV OC43은 Cellufine Sulfate로 고순도 정제되었습니다. Cellufine Sulfate는 β코로나바이러스속의 정제에 효과적인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입니다.
Cellufine Phosphate를 활용한 T7 RNA 중합효소의 정제
최근 몇 년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백신으로 유명해진 mRNA 백신의 제조 공정에 T7 RNA 중합효소가 사용됩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대장균(pAR1219)에 T7 RNA 중합효소를 발현시킨 후 그 발효액을 Cellufine Phosphate 및 Cellufine MAX DEAE(약한 음이온 교환 담체)로 고순도 정제한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담체인 Cellufine Phosphate를 이용해 극히 고순도인 효소를 정제할 수 있습니다.
Cellufine을 이용한 Streptococcus pneumoniae 혈청형 19F의 캡슐 다당류 정제
폐렴연쇄상구균은 전 세계에서 특히 어린이나 고령자에게 심각한 수준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일으키는 폐렴의 주요 병원체 중 하나입니다. 가장 중요한 독성 인자 중 하나인 세균 표면의 캡슐 다당류(CPS)를 기반으로 한 폐렴구균 백신은 이러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기존 에탄올 침전은 대부분의 혈청형에 적합한 CPS를 정제하기 위한 일반적인 프로세스입니다. 그러나 이는 복잡하고 시간이 걸립니다. 그 결과 폐렴 구균 백신은 매우 고가가 됩니다. 여기서는 에탄올 침전이 없는 CPS의 단순화된 2단계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프로세스를 제안합니다. 이 프로세스에서는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HIC) 및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AEX)를 활용합니다. 이 프로세스에 최적화된 2개의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Cellufine MAX Butyl HS와 Cellufine MAX Q-hv를 소개하겠습니다.
항체 의약품 제조 방법의 알기 쉬운 설명
항체 의약품은 특정 병원체나 질병에 높은 특이성과 효과를 보여 최근 몇 년간 의료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조 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이 요구됩니다. 이번에는 항체 의약품 제조 프로세스를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