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ufineTMSulfate
바이러스, 바이러스 유래 항원 단백질, 혈청 단백질 및 헤파린 결합성 단백질의 정제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나 바이러스 유래 항원 단백질을 정제·농축하였기에, 백신 정제나 진단 시약으로 이용하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Cellufine Sulfate는 간단한 조작으로 재현성 좋게 바이러스 입자를 정제·농축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정제로 사용되는 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는 시간이 걸리는 점, 재현성을 높이기 어려운 점, 안전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조작이 번거롭지만, Cellufine Sulfate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Cellufine Sulfate는 덱스트란 황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 헤파린 등을 고정화한 담체와 비교했을 때 비용, 리간드의 저용출성, 재현성의 관점에서 뛰어난 정제 성능을 발휘합니다. Cellufine® Sulfate에 결합한 목적물은 이온 강도를 단계적 용리 또는 구배 용리에 따라 늘리기만 하면 쉽게 용출할 수 있습니다.
특징Features
- 생바이러스, 비활성화 바이러스, 분할 처리된 바이러스 모두 친화성을 보입니다.
그 외에도 바이러스 유래 항원, 세균 유래 항원, 헤파린 결합성 단백질과 친화성을 보여 줍니다. -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은 밀폐된 환경에서 진행되기에 안전성이 높고 목적물을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합니다.
또한 Cellufine Sulfate는 엔도톡신과는 흡착하지 않기에 혼재한 엔도톡신을 제거하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 음전하를 띤 리간드이기에 엔도톡신이나 숙주 유래의 DNA 등 음전하를 띤 불순물을 흡착하지 않습니다.
- 베이스가 셀룰로스이기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 여러 번 오토클레이브로 멸균할 수 있습니다.
이점Benefit
- 밀도 구배 초원심법보다 효율적으로 정제 대상물에서 배양액이나 숙주 세포 유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밀폐된 환경에서 진행되는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으로 바이러스를 정제할 수 있기에 안전성이 높은 정제 공정입니다.
-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기에 밀도 구배 원심분리와 비교했을 때 정제와 농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드 타임 단축과 비용 절감에 기여합니다. - 중성 부근의 온화한 환경 조건에서 흡착, 용출할 수 있기에 수율 향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 높은 내압성을 지녔기에 빠른 유속에서 조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 규모의 대형 컬럼에서 사용한 실적도 풍부하기에 규모를 쉽게 확대할 수 있습니다. - 화학 약품에 대한 내구성도 높아 그 예로 포르말린을 활용한 멸균도 가능합니다.

제품 특징 | |
---|---|
베이스 캐리어 | 셀룰로오스 입자 |
입자 크기 | ca. 40 – 130 µm |
입자 형상 | 진구 |
배제 한계 분자량 | 3kD |
리간드 | 황산 에스테르기 |
총 S 함량 | >700 µg/g dry |
단백질 흡착량 리소자임 :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 |
>3 mg/ml 7 mg/ml |
화학 안정성 | 0.1M NaOH에 안정, 0.1% of 37% 포르말린에 안정 |
조작압 | <0.3 MPa |
오토클레이브 | 중성 pH 동안 현탁 30 min at 121 °C |
보존 용액 | 20% 에탄올 수용액 |
유속 특성Flow Properties

대형 컬럼에서 뛰어난 유속 특성을 볼 수 있습니다.
- Column A
- 90 x 200 mm
- Column B
- 350 x 200 mm
바이러스 및 바이러스 항원/미생물 항원에 대한 흡착 특성Virus, Viral/Microbial Antigens
바이러스 입자 | 바이러스/미생물 항원 |
---|---|
|
|
이들 실시예는 특허 문헌으로부터 인용되어 있다. |
Table 1Cellufine Sulfate는 바이러스, 미생물의 항원 단백질, 바이러스의 농축 및 정제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OC43) 정제 사례Example of purification of human coronavirus (OC43) with Cellufine Sulfate
인간 코로나바이러스(OC43) 정제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를 지닌 단백질입니다. Cellufine Sulfate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적합하게 흡착해 정제할 수 있습니다.
상세한 기술 자료는 아래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컬럼
- I.D. 5 mm x height 15 mm (0.3 ml)
- 샘플
- 베로세포 라이세이트, BPL(β-프로피오락톤)에 의한 불활성화 코로나바이러스 포함
- 바이러스 균주
-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 (HCoV) OC43
- 유속
- 0.3 ml/min (체류시간 1 min)
- 평형화 버퍼
- 1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150 mM 염화나트륨, pH 7.4
- 용출 완충액
- 1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2 M 염화나트륨, pH 7.4
광견병 바이러스의 정제 사례Refinement case of a virus of rabies
Fig.3은 Cellufine Sulfate에 따라 닭 배아 조직의 배양액에서 광견병 바이러스를 농축·정제한 실시 사례를 보여 줍니다.

- 컬럼
- 50 x 70 mm (140 ml)
- 흡착 버퍼
- 0.01M Phosphate (pH 7.2)
- 용출 완충액
- 1M NaCl/0.01M Phosphate (pH 7.2)
통액 전 | 정제 후 | |
---|---|---|
용액 부피 (ml) | 4,200 | 50 |
바이러스 역가 | 32 | 4,096 |
단백질 양 (µg/ml) | 8.5 | 14 |
수율(%) | 100 | 152 |
정제도 | 79x | |
농축도 | 126x |
Table 2Concetration and Purification of virus with Cellufine Sulfate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정제 사례Refinement case of the flu viru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배양한 계란 유래 요막액을 33.3mL의 Cellufine Sulfate에 직접 주입한 후 용출한 결과, 94.5%의 바이러스 활성도를 유지한 채 회수할 수 있었습니다.
액량(ml) | 바이러스 역가 | 단백질 양µg/ml | 회수율(%) | 정제 배율 | |
---|---|---|---|---|---|
요막액 | 4200 | 77 | 337.1 | 100 | 1 |
세정액 | 6700 | 1 | 209.2 | 2.1 | - |
용출액 | 170 | 1797 | 448.0 | 94.5 | 20.1 |
Table 3Purification of Influenza virus from hen's egg allantoic fluid
- 컬럼
- 50 x 170 mm
- 평형화 버퍼
- 0.01M Phosphate pH 7.4
- 세척 버퍼
- 0.01M Phosphate pH 7.2 + 0.2M NaCl
- 용출 완충액
- 0.01M Phosphate pH 7.0 + 1.5M NaCl
항원 단백질 정제와 발열 물질 제거Antigenic Protein Purification and Depyrogenation
Cellufine Sulfate에는 엔도톡신이 흡착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바이러스나 세균성 추출물에서 엔도톡신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크로마토그래피 충전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Fig.4에서는 백일해균 유래 섬유질 헤마글루티닌(FHA)의 정제 사례를 소개합니다.

- 컬럼
- 16 x 70 mm (20 ml)
- 샘플
- 800 ml B. pertussis culture fluid
(endotoxin titer > 1015 by Limulus lysate test) - 평형화 버퍼
- 0.01M Phosphate (pH 7.6)
- 용출 완충액
- 1M NaCl/0.01M Phosphate (pH 7.6)
- FHA 수율
- 94%
- 정제 배율
- 20x
- 농축 배율
- 28x (30 ml product)
- 엔도톡신
- 리무루스테스트, 토끼, 마우스의 발열 시험에 있어서 기준 레벨 이하가 되었다.
단백질 정제 예시Protein Purification
Cellufine Sulfate는 헤파린이나 덱스트란 황산염의 미메틱 구조를 지니고 있기에 이러한 화합물과 결합하는 혈청 유래 단백질, 세포 내 증식 인자, 리파아제 등과 친화성을 보입니다.
흡착하는 단백질의 예 | 흡착하지 않는 단백질 예 |
---|---|
|
|
*그라디언트 모드에서 용출함으로써 양호한 분리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
Table 4
소의 흉선을 이용한 카세인 인산화효소 Ⅱ 정제 예시Purification of Partially Purified Casein Kinase II from Calf Thymus

- 컬럼
- 10 x 20 mm
- 샘플
- 7 ml
- 평형 버퍼
- 50mM Tris-HCl (pH 7.9)
+ 50mM MgCl2
+ 0.1mM EDTA
+ 0.1mM PMS
+ 0.5mM DTT
+ 25 % glycerol - 용출 완충액
- 0.05 – 1.0M NaCl in buffer